스킨답서스는 천남성과에 속하는 속씨식물로 열대 지역이 원산지인 식물입니다. 상록수 담쟁이 과로 덩굴이 나무나 돌벽을 타고 오르며 잎 색깔은 품종에 따라 초록, 노란색과 짙은 녹색에 실버 무늬가 있는 종류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스킨답서스는 생존력이 강해 키우기 쉽고 포름알데히드나 벤젠 등의 실내 오염 물질 등을 정화하는데도 아주 효과적이며, 특히 일산화탄소를 흡수하기 때문에 주방에 키우면 공기정화에 도움에 됩니다. 다만 스킨답서스는 독성을 가지고 있어 섭취 시 구토나 염증을 일으키므로 어린 아이나 애완동물이 있는 집에서는 이를 섭취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인기가 많고 키우기 쉬운 식물로서 북 호주, 인도, 네팔, 파키스탄, 방글라데시아, 서인도제도 및 하와이 등지로 널리 퍼졌으며 생존력이 강한 식물이게 때문에 악마의 포도나무 또는 악마의 담쟁이덩굴이라고도 불립니다.
01
스킨답서스 키우기/ 온도
스킨답서스는 열대지역이 원산지로 따뜻한 실내에서 잘 자랍니다. 따라서 21~25도 정도의 온도가 적절하며 32도까지도 견디며 반대로 온도가 낮을 경우 생장이 멈추거나 하엽이 빨리 질 수 있습니다.
02
스킨답서스 키우기/ 습도
스킨답서스는 아열대 지역이 원산지로 특별한 관리 없이 실습에서도 잘 자라는 편이지만 새싹이 올라올 때 습도를 좀 높여주면 보다 성장세를 빠르게 할 수 있습니다. 스킨답서스의 적정 습도는 40~70%로 실습에서 키울 경우 습도가 낮은 때는 분무를 해주면 도움이 됩니다.
03
스킨답서스 키우기/ 빛
스킨답서스는 직사광선을 피하고 부드러운 밝은 햇빛에서 잘 자랍니다. 흰 무늬나 실버 무늬가 있는 스킨답서스 같은 경우에는 보다 밝은 햇빛을 비춰줘야 무늬가 선명해집니다.
04
스킨답서스 키우기/ 물 주기
스킨답서스의 성장기인 봄과 여름에는 겉흙이 3cm가량 말랐을 때 물구멍에서 물이 흘러나올 정도로 흠뻑 줍니다. 겨울에는 다소 건조하게 키우는 것이 좋은데, 물을 주는 주기를 가급적 길게 잡아 흙 전체가 말랐을 때 충분히 관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수돗물을 하루 전날 받아두고 염소를 날리고 물 온도를 상온에 맞춰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05
스킨답서스 키우기/ 흙 배합
스킨답서스는 어느 토양에서나 잘 자라지만 배수가 잘 되는 배합이면 좋습니다. 따라서 흙 배합은 상토에 펄라이트나 마사토, 산야초 등을 섞어주면 배수가 잘 되고 뿌리 썩음을 예방하는데 좋습니다. 또한 1년에 한 번 정도 분갈이를 하고 흙을 갈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06
스킨답서스 키우기/ 비료
스킨답서스는 봄부터 가을까지 20-10-10의 수용성 비료를 반으로 희석하여 매달 주며, 성장기인 여름에는 한 달에 두 번 정도 주는 것이 좋습니다.
07
스킨답서스 키우기/ 번식
스킨답서스의 번식은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 공중 뿌리가 나와있는 줄기의 위아래를 자란 후 젖은 수태에 꽂아 밀폐시켜 주기적으로 환기를 해주거나 흙에 바로 심은 후 토양을 촉촉하게 유지시켜 주면 어렵지 않게 새싹이 올라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Skindapsus
학명: Epipremnum aureum
종류: 천남성과
적정 온도: 21~25도, 32도 까지도 견딤
적정 습도: 종에 따라 다르나 보통 실습에서 잘 자람 (40~70%)
빛: 직사광선을 피한 밝은 반양지
물 주기: 봄부터 여름까지는 겉흙이 3cm 정도 말랐을 때 듬뿍, 겨울철은 다소 건조하게 흙 전체가 말랐을 때 충분히
흙 배합: 배수가 잘 되는 배합 사용 (상토, 펄라이트, 마사토, 산야초 등 혼합)
비료: 성장기인 여름은 한 달에 두 번, 봄가을에는 한 달에 한번
번식: 물꽂이, 줄기 흙에 심어 촉촉하게 유지
독성: 유 (어린아이와 애완동물 주의, 섭취 시 염증이나 구토 유발)
ⓒ 2021. omafam all rights reserved.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Pla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indapsus] 블랙맘바 케어법 (온도, 빛, 물주기, 흙배합, 번식법) (0) | 2022.09.21 |
---|---|
[Philodendron] 필로덴드론 마제스틱 1년 키우면 얼마나 클까? (0) | 2022.09.06 |
호야 키우기 (온도, 습도, 물주기, 빛, 비료 등) (0) | 2022.06.08 |
[Begonia] 베고니아 페록스 키우기 (0) | 2022.06.08 |
제주애기모람 키우기 (0) | 2022.06.05 |
댓글